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기 이앓기 증상과 대처, 그리고 예방 방법

by 몽글이니 2025. 9. 13.

아이이앓이

아기 이앓기 증상과 대처, 그리고 예방 방법

아기가 태어나고 몇 개월이 지나면 부모들이 가장 크게 고민하는 순간 중 하나가 바로 이앓기입니다. 이가 나는 시기는 아이의 성장 과정에서 당연히 거쳐야 하는 과정이지만, 아이가 겪는 불편함과 그에 따라 달라지는 생활 패턴은 부모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게됩니다. 저 역시 아이가 처음 이를 틀면서 밤마다 보채고, 먹던 분유도 거부하고, 이유없이 1시간을 우는 아이를보며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많이 당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기들의 이앓기 증상과, 이를 어떻게 대처하고 예방하면 좋은지 경험과 정보를 바탕으로 풀어보려 합니다.


흔히 나타나는 이앓기 증상

아기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생후 6개월 전후부터 첫 이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빠르면 4개월에도 나기시작하는 시기에 아기에게서 가장 먼저 보이는 건 침을 많이 흘리는 모습이에요. 평소보다 침이 과하게 늘고, 손이나 장난감을 자꾸 입에 넣으며 잇몸을 문지르는 행동을 보입니다. 또 잇몸이 붓거나 붉게 변하면서 아파하듯 울음을 터뜨리기도 합니다.

먹던 분유나 이유식을 거부하고, 밤에 자주 깨서 보채는 것도 흔한 증상입니다. 면역력이 약해져 미열이나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 감기와 헷갈리기도 하는데, 대부분은 치아가 올라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하지만 고열이 며칠간 지속되거나 기침, 심한 설사가 함께한다면 단순 이앓기가 아닐 수 있으니 소아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앓이에 대처하는 방법

이앓기를 겪는 아기를 돕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잇몸의 불편함을 덜어주는 것입니다. 차갑게 식힌 치발기를 물려주면 잇몸이 진정되면서 아이가 한결 편안해집니다. 치발기가 없다면 깨끗한 손수건을 차갑게 적셔 물려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또한 아기가 손이나 물건을 자주 입에 넣기 때문에 위생 관리가 중요합니다. 장난감이나 손수건은 자주 세척하고 소독해주어야 세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밤에 자주 깨는 아기에게는 부드럽게 안아주거나 등을 토닥이며 안정감을 주는 것이 도움이 되는데 엄마아빠는 고생이 많겠지요. 저희 아이같은 경우에는 따뜻한물을 먹으면 울음을그치고, 곧 잠을 잤습니다. 더 필요하다면 소아과에서 권장하는 치아 발육젤을 사용해도 효과적입니다.


예방과 관리 방법

사실 이앓기를 완전히 피할 수는 없지만, 미리 대비하면 훨씬 수월하게 넘어갈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은 잇몸 건강 관리예요. 이가 나기 전부터 부드러운 거즈로 잇몸을 닦아주는 습관을 들이면 세균 번식을 줄이고 치아가 나올 때도 더 건강하게 올라옵니다.

또 아기의 면역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수면과 균형 잡힌 이유식, 적절한 실내 습도와 온도를 유지해주면 아이가 이 시기를 조금 더 편안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부모가 조급해하지 않고, 아이의 변화에 맞춰 차분히 대응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이앓기는 길게는 2~3년까지 이어지기도 하는 과정이지만, 결국 아이가 튼튼한 치아를 가지기 위해 거쳐야 하는 성장의 한 부분이니까요.


아기의 이앓기는 부모라면 누구나 겪는 공통적인 고민입니다. 침을 많이 흘리고 보채는 모습은 힘들지만, 잘 대처하면 큰 문제 없이 지나갈 수 있습니다. 차가운 치발기, 위생 관리, 잇몸 마사지 같은 작은 실천들이 아이에게 큰 도움이 되며, 예방 차원에서 잇몸 관리와 면역력 강화에 신경 쓰는 것도 좋습니다. 무엇보다 아이가 힘들어할 때 옆에서 따뜻하게 안아줘서 마음의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줘야겠지요.